일상의 스토리

24절기

영홈스 2018. 8. 7. 09:49
반응형




폭염인데 입추라고 하네요. 입추(立秋)는 24절기의 13번째로 대서와 처서의 사이에 있다. 태양 황경이 135도가 될 때이다. 음력에서는 가을이 시작하는 날이다. 양력으로는 8월 7일내지 8월 8일에 든다. 조선 시대에서는 입추가 지나서 비가 닷새 이상 계속되면 조정이나 각 고을에서는 비를 멎게 해달라는 기청제를 올렸다고 전해진다. 또 이날은 곡식이 여무는 시기이므로 이날 날씨를 보고 점치는데 입추에 하늘이 청명하면 만곡(萬穀)이 풍년이라고 여기고, 이날 비가 조금만 내리면 길하고 많이 내리면 벼가 상한다고 여가며 천둥번개가 치면 벼의 수확량이 적고 지진이 있으면 다음해 봄에 소와 염소나 산양이 죽는다고 점쳤다고 하며, 그리고 이날은 김장용 무와 배추를 심어 김장에 대비하며 김매기도 끝내면 농촌이 한가해지기 시작했다고 합니다. 그럼 24절기에는 어떤

내용인지 절기 마다의 뜻을 알아 봤습니다. 








입춘 立春

24절기 중 첫번째 절기로 양력 2월 4일경. 대한과 우수 사이에 있다. 음력으로는 대개 정월이므로 새해를 상징하기도 한다. 그래서 옛어른들은 이날 '입춘대길'(立春大吉:입춘을 맞이하여 좋은 일이 많이 생기라는 뜻)과 같은 좋은 글을 써서 대문 기둥이나 대들보 혹은 천장에 붙였으며, 농가에서는 보리 뿌리를 뽑아 보고 그해 농사가 잘 될지 어떨지를 점치기도 하였다. 


우수 雨水 

24절기의 하나로 양력 2월 19일경. 입춘과 경칩 사이에 있다. 우수는 눈이 비가 되어 내리고 얼음이 녹아서 물이 된다는 뜻으로 날씨가 많이 풀려 봄기운이 돋고 초목이 싹트는 절기이다. 옛날부터 "우수 경칩이 되면 대동강 물도 풀린다"는 말이 있듯이 봄기운이 완연해지는 절기이다. 


경칩 驚蟄 

24절기의 하나로 양력 3월 6일경. 우수와 춘분 사이에 있다. 날씨가 따뜻하여 각종 초목의 싹이 트고 겨울잠을 자던 동물들이 땅위로 나오려고 꿈틀거린다고 하여 이런 이름이 생겨났다. 이 무렵 개구리들이 나와 물이 고여 있는 곳에 알을 낳는데, 이 알을 먹으면 몸을 보호한다 하여 경칩날 개구리 알을 건져 먹는다고 한다. 그리고 흙일을 하면 1년 내내 탈이 없다고 하여 일부러 벽을 바르기도 하였다. 


춘분 春分 

24절기의 하나로 양력 3월 21일경. 경칩과 청명 사이에 있다. 밤과 낮의 길이가 똑같아지는 절기이다. 음력 2 월에 해당하며 바람이 많이 불기 때문에 "꽃샘추위에 설늙은이 얼어 죽는다" "2월 바람에 김치독 깨진다"는 속담이 생겨났다. 우리나라에서는 대개 입춘부터 봄이라고 하지만, 유럽은 춘분부터봄이다. 


청명 淸明 

24절기의 하나로 양력 4월 5일경. 춘분과 곡우 사이에 있다. 한식과 같은 날 또는 하루 전날이 된다. 때로는 식목일과 겹치기도 하는데, 농가에서는 논농사 준비 작업으로 논둑의 가래질을 시작한다. 


곡우 穀雨 

24절기의 하나로 양력 4월 20일경. 청명과 입하 사이에 있다. 봄비가 자주 내리고 곡식이 풍성해지는 절기이다. "곡우에 가물면 땅이 석 자나 마른다"라는 말처럼 비가 오지 않으면 그해 농사가 망친다고 한다. 또 이날 못자리에 쓸 볍씨를 담갔는데, 밖에서 부정한 일을 당하거나 본 사람은 집 앞에서 불을 피워 잡귀신을 몰아낸 다음 집 안에 들어왔다고 한다. 







입하 立夏

24절기의 하나로 양력 5월 6일경. 곡우와 소만 사이에 있다. 음력으로는 4월 절기이며, 여름이 시작된다고 하여 이런 이름이 붙었다. 곡우에 마련한 못자리도 자리가 잡혀 농사일이 바빠지고, 여러 가지 해충이나 잡초를 제거하기에 여념이 없을 때이다. 


소만 小滿 

24절기의 하나로 양력 5월 21일경. 입하와 망종 사이에 있다. 식물이 잘 자라고 여름 기분이 들기 시작한다. 또 모내기 준비를 하거나 가을 보리를 일찍 베는 등 여러 가지 농사일로 매우 바쁠 때이다. 특히 냉이국은 봄철 입맛을 돋아준다. 


망종 芒種 

24절기의 하나로 양력 6월 6일경. 소만과 하지 사이에 있다. 벼나 보리 등 수염이 있는 곡식의 씨앗을 뿌리기에 좋은 때라는 뜻이다. 예로부터 "보리는 익어서 먹게 되고, 볏모는 자라서 심게 되니 망종이다" "망종에는 햇보리를 먹을 수 있다"는 말이 있을 만큼 보리베기·모내기로 몹시 바쁜 시절이다. 


하지 夏至 

24절기의 하나로 양력 6월 21일경. 망종과 소서 사이에 있다. 1년 중 낮의 길이가 가장 길다. 옛날 어른들은 모내기를 끝내고 이때까지 비가 오지 않으면 기우제를 지냈다고 한다. 북반구의 땅표면은 태양으로부터 가장 많은 열을 받아 하지가 지나면서 몹시 더워지고, 장마가 시작되는 지방도 생긴다. 


소서 小暑 

24절기의 하나로 양력 7월 7일경. 하지와 대서 사이에 있다. 소서를 전후하여 장마가 지기 쉽다. 옛날에는 소서에 논매기를 하였으나 요즘은 제초제를 뿌리며, 하지 무렵에 심은 콩·팥이나 조밭의 김을 매준다. 또한 퇴비를 마련하고 논두덩의 잡초를 제거한다. 서서히 더위가 시작되고 갖가지 과일과 채소가 선보이는 시절로서, 단오를 전후하여 먹는 밀가루 음식 맛이 가장 좋을 때이다. 


대서 大暑 

24절기의 하나로 양력 7월 23일경. 소서와 입추 사이에 있다. 대서는 '큰 더위'라는 뜻으로 날씨가 몹시 덥고 장마가 지기 쉬운 때이다. 소서·대서 무렵에는 논이나 밭의 잡초를 뽑아내고 풀·짚 등을 섞어서 거름을 만들어 두었다가 필요할 때 사용하였다. 특히 과일맛이 좋은 때로, 비가 적게 오면 더욱 맛이 좋다고 한다. 







입추 立秋

24절기의 하나로 양력 8월 8일경. 대서와 처서 사이에 있다. 바야흐로 가을이 시작되니, 아침 저녁으로 가을 바람이 불기 시작한다. 입추 무렵에 김장용 배추나 무를 심고 서리 내리기 전에 거둔다. 또한 김매기도 끝나가 므로 농한기에 접어드는 시절이다. 


처서 處暑 

24절기의 하나로 양력 8월 23일경. 입추와 백로 사이에 있다. 더위가 물러가는 시기로, 따가운 햇살도 한풀 꺾이고 초목도 더 이상 자라지 않으므로 산소나 논두렁의 풀을 깎는다. 날씨가 서늘해지므로 "처서가 지나면 모기 입도 비툴어진다"는 말이 생겨났을 정도이다. 


백로 白露 

24절기의 하나로 양력 9월 8일경. 처서와 추분 사이에 있다. 밤에 기온이 떨어지고 풀잎에 이슬이 맺히는 등 가을 기운이 완연해진다. 장마가 물러가고 맑은 날씨가 계속되지만, 간간이 남쪽에서 불어오는 태풍으로 말미암아 곡식이 줄기째 부러지고 해일이 일어나기도 한다. "백로에 비가 오면 십리 천석(千石)을 늘인다"고 하여 백로에 비가 오는 것을 풍년이 들 조짐으로 보았다. 


추분 秋分 

24절기의 하나로 양력 9월 23일경. 백로와 한로 사이에 있다. 춘분과 추분을 흔히 이분(二分)이라고 총칭하는데, 하지 이후 낮의 길이가 조금씩 짧아져 추분이 되면 낮과 밤의 길이가 같아진다. 이후부터 차츰 밤이 길어져 바야흐로 여름이 지나고 가을이 다가옴을 느낄 수 있다. 추분을 전후한 시기는 논과 밭의 온갖 곡식을 거두어들이고 목화나 고추를 따서 말리는 등 농사일이 많으며, 오곡백과가 풍성한 시절이다. 


한로 寒露 

24절기의 하나로 양력 10월 8일경. 추분과 상강 사이에 있다. 찬이슬이 맺힌다는 뜻으로, 기온이 더 떨어지기 전에 추수를 마쳐야 하는만큼 농가에서는 마무리 타작을 하는 등 몹시 바쁜 시절이다. 국화전을 지지거나 국화주를 담그고 갖가지 모임 또는 놀이를 즐긴다. 또한 여름새와 겨울새가 제각기 자기 자리를 찾아가는 시절이다. 


상강 霜降 

24절기의 하나로 양력 10월 23일경. 한로와 입동 사이에 있다. 서리가 내린다는 뜻으로, 이 무렵이 되면 맑은 날씨가 계속되면서 밤의 온도가 떨어져 서리가 맺힌다. 옛날에 중국 사람들은 상강이 지난 다음 입동이 되기 5일 전에 벌레들이 겨울잠을 자러 들어간다고 하였다. 







입동 立冬 

24절기의 하나로 양력 11월 7일경. 상강과 소설 사이에 있다. 이날부터 겨울이 시작되니, 싸늘한 바람마저 불어 온다. 대체로 입동을 전후하여 김장을 담갔으나 요즘은 늦어지는 추세이다. 전국적으로 음력 10월 10-30일 사이에 햇곡식으로 시루떡을 만들어 고사를 모시고, 이웃끼리 나누어 먹곤 한다. 


소설 小雪 

24절기의 하나로 양력 11월 22일경. 입동과 대설 사이에 있다. 살얼음이 얼기 시작하여 겨울 기분이 들면서도 따사로운 햇살이 있어서 소춘(小春)이라고도 한다. 음력 10월 20일 무렵에는 바람이 심하고 날씨가 추우므로 외출을 삼가며, 뱃길에 주의해야 한다. 


대설 大雪 

24절기의 하나로 양력 12월 7일경. 소설과 동지 사이에 있다. 이 무렵 많은 눈이 내린다 하여 이런 이름이 붙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반드시 많은 눈이 오지는 않는다. 아무튼 이날 눈이 많이 오면 이듬해 풍년이 들고 푸근한 겨울을 지낼 수 있다고 한다. 


동지 冬至 

24절기의 하나로 양력 12월 22일경. 대설과 소한 사이에 있다. 


소한 小寒 

24절기의 하나로 양력 1월 5일경. 동지와 대한 사이에 있다. 이름만으로는 대한이 추울 것 같지만 사실은 소한이 더 춥다. "대한이 소한의 집에 놀러갔다가 얼어 죽었다"는 속담이 있을 정도로 우리나라의 소한은 춥다. 


대한 大寒 

24절기의 하나로 양력 1월 20일경. 소한과 입춘 사이에 있다. 원래 겨울 추위는 입동에 시작하여 소한이 다가 올수록 추워져 대한에 이르면 최고로 추워진다고 한다. 그러나 이것은 중국에 해당되는 말이고 우리나라의 경우 1월 15일경이 가장 추운 편이다. "대한이 소한의 집에 놀러갔다가 얼어 죽었다" "춥지 않은 소한 없고 포근하지 않은 대한 없다" "소한에 언 얼음이 대한에 녹는다"는 속담 등이 생긴 것도 대한이 그리 춥지 않다는 사실을 나타낸다. 







반응형

'일상의 스토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드로이드 9 파이 리뷰  (0) 2018.08.08
단기간다이어트  (0) 2018.08.07
암호화폐 용어정리 시리즈 2  (0) 2018.08.06
탈모원인과 해결방법  (0) 2018.08.05
이상지질혈증 이란  (0) 2018.06.19